오피스텔 분양권을 매수하거나 새로 분양받았다면 일반임대사업자를 등록하여 부가세를 환급받거나 중도금 대출을 유리한 조건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누구나 쉽게 인터넷으로 일반임대사업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과 업종 코드를 정리했습니다.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란?
일반임대사업자란, 비주거용 부동산을 임대하는 사업자 중 세법장 혜택을 받는 임대업자를 말합니다. 개인 또는 법인이 오피스텔을 임대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에는 등록하여 혜택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주요 혜택과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부가세 환급 가능 (분양금액 중 건물 가격의 10%)
- 소득세, 법인세 등 경비 인정
- 단점으로는 의무기간 10년을 채워야 하며
- 임차인이 전입신고가 불가능하여 임대를 놓기 어렵습니다.
일반임대사업자 등록(신청) 방법
신청은 국세청에서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으로 방문할 수도 있지만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온라인) 신청 방법 및 업종코드는?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홈택스 홈페이지 로그인 (https://hometax.go.kr/ 클릭)
- 상단 메뉴에서 ‘증명, 등록, 신청’ → ‘사업자등록 신청, 정정, 휴폐업’ 클릭
- ‘개인 사업자등록 신청’ 클릭
빈 칸에 이제 정보를 넣어주면 됩니다.
- 상호명 : 원하는 사업장 명을 넣어주면 됩니다. 보통 구분하기 쉬운 이름으로 짓습니다. (오피스텔명을 활용)
- 자가면적 : 계약서 상의 ‘전용면적’을 입력합니다.
- 사업장 소재지(주소) : 계약서 상의 주소지를 입력합니다. 오피스텔을 짓고 있다면 건설중이라 직접 입력해야합니다.
- 개업일자 : 예상 준공예정일을 입력합니다.
- 사업장전화번호, 자택전화번호, 팩스번호는 공란으로 비워둡니다.
- 종업원수, 자기자금, 타인자금 등은 공란으로 비워둡니다.
- 공동사업자 없음, 사업자유형은 일반을 선택합니다.
- 업종코드 : 부동산으로 검색한 뒤 업종코드 701201 (부동산업 및 임대업,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을 입력해줍니다.
업종코드 701201은 일반임대사업자의 업종코드입니다.
저장 후 다음을 클릭하면 첨부 서류를 제출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분양 계약서 사진 찍은 거나 스캔본을 업로드해 주면 됩니다. jpg 또는 pdf로 업로드해야 합니다.
일반임대사업자와 주택임대사업자 차이점
일반임대사업자와 주택임대사업자의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구분 | 일반임대사업자 | 주택임대사업자 |
임대 대상 | 비주거 부동산 (상가, 오피스텔 등) | 주거용 부동산 (아파트, 빌라 등) |
취등록세 | 취등록세 4.6% | 취등록세 4.6% (신규 소형 주택은 감면) |
부가세 환급 | O | X |
세금 혜택 | X | 소형 면적은 취득세, 재산세 면제 |
임대 의무기간 | 사업자 등록 10년 유지 | 임대 의무 10년 유지 |
주택수 포함 | X | 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