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은 음력 날짜로 1월 15일을 의미합니다.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로서, 밝은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날입니다. 2025년 정월대보름 날짜와 먹는 음식, 풍습을 정리했습니다.
2025년 정월대보름 날짜
2025년 음력으로 1월 15일은 2월 12일 수요일입니다. 정월대보름은 한 해 중 첫 번째로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달이 가장 밝기 때문에 한 해의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도 정월대보름 행사가 열렸고, 일반 백성들도 다양한 풍습을 즐겼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먹는 음식
정월대보름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며 특별한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1. 견과류 먹기 (부럼 깨기)
정월대보름에는 보통 견과류를 먹습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호두, 잣, 밤, 땅콩과 은행 등을 깨물면서 올 한 해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달라고 빌곤 했습니다.
이를 ‘부럼 깨기’라고 하며 1년 내내 건강한 치아와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는 민속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오곡밥 먹기 (풍년을 기원)
오곡밥이란, 다섯 가지 곡물을 섞어 지은 밥을 의미합니다. 쌀, 조, 수수, 팥, 콩을 의미하며 농사가 잘 되게 바라는 마음으로 풍년과 부귀를 기원하는 음식입니다.
또한 이웃과 함께 나눠 먹으며 정을 나누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3. 나물 먹기 (건강 기원)
고사리, 취나물, 도라지, 시래기, 가지, 고구마줄기, 박고지 등 묵은 나물을 먹으면서 겨울철에 부족했던 영양분을 채웁니다.
오곡밥과 같이 나물을 먹으며 건강을 기원합니다. 실제로 몸속의 영양 균형을 맞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정월대보름 전통 풍습
정월대보름에는 전통적으로 행하던 다양한 풍습이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관련 행사를 기획하기도 합니다.
1. 보름달맞이 (소원빌기)
새해 첫 보름달을 맞아 소원을 비는 전통 풍습이 있습니다. 두 손 모아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복을 기원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2월 12일에는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5시 46분에 정월대보름 보름달이 뜰 예정이라고 관측했습니다.

2. 쥐불놀이 (해충 제거)
쥐불놀이란, 마을 사람들이 논, 밭에 모여서 마른 풀을 태우는 풍습을 말합니다. 해충을 없애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특히 어린이들이 깡통에 불을 붙이고 돌리곤 했습니다.
그러나 건조한 날씨로 인해 산불로 번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3. 달집태우기
나무와 짚으로 큰 구조물을 만들어 불을 붙이고 한 해의 액운을 태우고 소원을 비는 전통 행사입니다. 밝은 불길을 보면서 풍년과 복을 기원합니다.
달집 주위를 돌며 강강술래를 부르기도 하고 윷놀이, 제기차기, 투호 등 전통 놀이를 함께 즐깁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 정월대보름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 정월대보름이 잊히는 것 같아 아쉬움이 큽니다. 올해는 가족들과 함께 부럼을 깨며 오곡밥을 먹으면서 한 해 건강을 기원하는 것은 어떨까요?
2025년 한 해도 무탈하고 부스럼 없으시길 바랍니다.
